티스토리 뷰
//설명. 참고사항.
const quizType = document.querySelector(".quiz__Type") //퀴즈 종류
const quizNumber = document.querySelector(".quiz__number") //퀴즈 번호
const quizAsk = document.querySelector(".quiz__ask") //퀴즈 질문
const quizConfirm = document.querySelector(".quiz__confirm") //정답 확인 버튼
const quizResult = document.querySelector(".quiz__result") //정답 결과
const quizDog = document.querySelector(".quiz__view .dog") //강아지
//문제 정보
const answerType = "HTML"
const answerNum = 1;
const answerAsk = "컨텐츠의 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는 무엇일까요?";
const answerResult = "HTML";
//문제 출력
quizType.textContent = answerType;
quizNumber.textContent = answerNum + ". ";
quizAsk.textContent = answerAsk;
quizResult.textContent = answerResult;
//정답확인
//정답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확인은 안보이게 / 숨겨진 정답은 보이게
//정답을 확인하면 강아지가 웃고있어야한다.
//정답 확인
quizConfirm.addEventListener("click", () => {
quizConfirm.style.display = "none" //정답 확인을 클릭하면 안보이게
quizResult.style.display = "block" //클릭하면 결과창이 보이게
quizDog.classList.add("like") //강아지에 like 클래스를 추가
})
이번에는 아주 간단한 퀴즈 이펙트 예제 입니다.
웃는 강아지의 CSS를 이용해서 재밌게 표현했습니다.
스크립트는 각각의 요소를 변수로 지정해서 클릭하면 display의 상태가 바뀌고 classList를 이용해서 클래스를 추가 삭제 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Script Sample > Quiz Eff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z Effect 05.객관식 : 여러 문제 정답 확인하기 (0) | 2022.02.22 |
---|---|
Quiz Effect 04.객관식 : 정답 확인하기 (0) | 2022.02.21 |
Quiz Effect 03.주관식 : 여러 문제 정답 쓰고 확인하기 (0) | 2022.02.21 |
Quiz Effect 02.주관식 : 사용자가 쓴 정답 확인하기 (0) | 2022.02.21 |
댓글
© 2018 webstoryboy